나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9년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4번 출전했으며, 2023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했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아직 진출하지 못했으며, 2015년 COSAFA컵 우승을 차지했다. 최다 출전 선수는 덴질 하오세브(83경기), 최다 득점 선수는 피터 샬룰리레(16골)이다. 현재 콜린 벤자민이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CAF에 관한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CAF에 관한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나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나미비아 용감한 전사들 |
협회 | 나미비아 축구 협회 (NFA) |
하위 연맹 | 남아프리카 축구 협의회(COSAFA) (남아프리카) |
대륙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아프리카) |
감독 | 콜린 벤자민 |
주장 | 피터 샬룰릴레 |
최다 출장 선수 | 덴질 하오셉 (83) |
최다 득점 선수 | 피터 샬룰릴레 (16) |
홈 경기장 | 인디펜던스 스타디움 |
FIFA 코드 | NAM |
FIFA 랭킹 | 112위 |
FIFA 최고 랭킹 | 68위 |
FIFA 최고 랭킹 날짜 | 1998년 11월 |
FIFA 최저 랭킹 | 167위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06년 7월 |
Elo 랭킹 | 148위 |
Elo 최고 랭킹 | 100위 |
Elo 최고 랭킹 날짜 | 1998년 9월 12일 |
Elo 최저 랭킹 | 165위 |
Elo 최저 랭킹 날짜 | 2006년 7월 22일 |
유니폼 | |
홈 유니폼 |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빨간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파란색 하의: 파란색 양말: 파란색 |
세 번째 유니폼 | 상의: 하얀색 하의: 하얀색 양말: 하얀색 |
경기 정보 | |
첫 경기 | 남서아프리카 0–1 앙골라 (나미비아; 1989년 5월 16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나미비아 6–0 보츠와나 (윈드후크, 나미비아; 1996년 8월 25일) , 나미비아 8–2 베냉 (윈드후크, 나미비아; 2000년 7월 15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이집트 7–1 나미비아 (카이로, 이집트; 1996년 11월 8일), 이집트 8–2 나미비아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2001년 7월 13일) |
주요 대회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 4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첫 출전 | 1998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고 성적 | 16강 (2023년)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출전 | 2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첫 출전 | 2018년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최고 성적 | 8강 (2018년) |
COSAFA컵 출전 | 19회 |
COSAFA컵 첫 출전 | 1997년 |
COSAFA컵 최고 성적 | 우승 (2015년) |
수상 내역 | |
COSAFA컵 | 금메달: 2015년 은메달: 1997년, 1999년, 2024년 |
2. 역사
나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통치하에 있던 남서아프리카 시절인 1989년 5월 16일, 앙골라와의 경기를 통해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2] 1990년 독립 이후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국제 경기 경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첫 승리는 1994년에 기록했다.[2]
'용감한 전사들'(eng)이라는 별명을 가진 나미비아 대표팀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총 네 차례 진출했다. 초기 세 번의 대회(1998년, 2008년, 2019년)에서는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으나,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6강전에서는 앙골라에 패배했다.
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은 수비수 덴질 하오세브가 보유하고 있으며(83경기), 역대 최다 득점자는 피터 샬룰릴레이다(16골). 샬룰릴레는 2023년 3월 24일 카메룬과의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경기에서 득점하며 이 기록을 달성했다.[3][4]
2. 1. 초기 역사
나미비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통치하에 있던 남서아프리카(South-West Africa) 시절인 1989년 5월 16일, 국제 무대에 처음 등장했다. 첫 경기는 인근 앙골라와의 홈경기로, 0-1로 패배했다.[2]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한 지 이틀 후인 1990년 3월 23일, 이웃 짐바브웨를 상대로 홈경기를 치렀으나 1-5로 패했다. 같은 해 6월 7일에는 모리셔스와의 홈 친선 경기에서도 1-2로 패배했다.[2]나미비아 대표팀의 다음 경기는 레소토 원정이었다. 1992년 8월 1일 레소토에 0-2로 패했지만, 바로 다음 날 같은 상대와 다시 경기를 치러 2-2 무승부를 기록하며 첫 무승부를 거두었다.[2] 첫 승리는 1994년 7월 1일, 보츠와나와의 원정 친선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면서 이루어졌다.[2]
1998년 5월 17일, 나미비아는 아프리카 대륙 밖에서 비아프리카 국가와 처음으로 경기를 가졌다. 프랑스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친선 경기였으며, 결과는 1-2 패배였다.[2][8]
2. 2. 독립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한 지 이틀 후인 1990년 3월 23일, 짐바브웨를 상대로 홈경기를 치렀으나 1-5로 패배했다. 같은 해 6월 7일에는 모리셔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1-2로 홈에서 패했다.1992년 8월 1일, 레소토에서 첫 원정 경기를 치렀으나 0-2로 패했다. 하지만 바로 다음 날인 8월 2일, 같은 상대와의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거두며 첫 무승부를 기록했다. 나미비아의 첫 승리는 1994년 7월 1일, 보츠와나와의 원정 친선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면서 이루어졌다.
1998년 5월 17일, 프랑스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1-2로 패했다. 이 경기는 나미비아가 아프리카 대륙 밖의 국가와 처음으로 치른 경기이자, 아프리카 외 지역에서 치른 첫 경기였다.[2][8]
나미비아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네 번 진출했다. 1998년 대회에서는 코트디부아르에 3-4 패배, 앙골라와 3-3 무승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1-4 패배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08년 대회에서는 모로코에 1-5 패배, 가나에 0-1 패배 후 마지막 기니와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모로코에 0-1, 남아프리카공화국에 0-1, 코트디부아르에 1-4로 패하며 3전 전패로 조별 리그를 마쳤다.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했으나, 앙골라에 0-3으로 패배했다.
3. 국제 대회 경력
나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해왔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아직 진출한 경험이 없으며, 예선에서 탈락해왔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총 4번 본선에 진출했다. 초기 세 번의 대회(1998년, 2008년, 2019년)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으나,[2]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자국 리그 선수들만 참가하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에는 2번 출전하여 2018년 대회에서 8강에 올랐다.
남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이 참가하는 COSAFA컵에서는 2015년에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대회 첫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고, 1997년과 1999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3. 1. FIFA 월드컵
나미비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없다. 1990년 독립 이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 하에 있어 참가 자격이 없었으며, 독립 이후로는 꾸준히 예선에 참가하고 있으나 아직 본선 무대를 밟지는 못했다.3. 1. 1. FIFA 월드컵 (본선)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은 아직 없다. 나미비아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는 월드컵에 참가할 자격이 없었으며, 독립 이후로는 계속해서 지역 예선에서 탈락했다.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는 8경기에서 3승 2무 3패를 기록하며 나미비아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승점 기록을 경신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10골을 기록하며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득점 기록도 새로 세웠다.
개최 연도 | 개최국 | 결과 | 개최 연도 | 개최국 | 결과 |
---|---|---|---|---|---|
1930 | 우루과이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일부로 참가 자격 없음 | 1982 | 스페인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일부로 참가 자격 없음 |
1934 | 이탈리아 | 1986 | 멕시코 | ||
1938 | 프랑스 | 1990 | 이탈리아 | 불참 | |
1950 | 브라질 | 1994 | 미국 | 예선 탈락 | |
1954 | 스위스 | 1998 | 프랑스 | ||
1958 | 스웨덴 | 2002 | 대한민국 / 일본 | ||
1962 | 칠레 | 2006 | 독일 | ||
1966 | 잉글랜드 | 201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970 | 멕시코 | 2014 | 브라질 | ||
1974 | 서독 | 2018 | 러시아 | 예선 탈락 | |
1978 | 아르헨티나 | 2022 | 카타르 | 예선 탈락 | |
총계: 본선 진출 0회 |
3. 1. 2. FIFA 월드컵 (예선)
나미비아는 1990년 독립 이전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권 지배 하에 있었기 때문에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1994년 FIFA 월드컵부터 예선에 참가하기 시작했으나, 아직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연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결과 |
---|---|---|---|---|---|---|---|---|
1930년부터 1990년까지 | 독립 이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 | |||||||
1994년 | 4 | 0 | 0 | 4 | 0 | 12 | 0 | 예선 탈락 |
1998년 | 8 | 2 | 2 | 4 | 9 | 18 | 8 | 예선 탈락 |
2002년 | 10 | 1 | 3 | 6 | 7 | 27 | 6 | 예선 탈락 |
2006년 | 2 | 0 | 1 | 1 | 1 | 4 | 1 | 예선 탈락 |
2010년 | 6 | 2 | 0 | 4 | 7 | 12 | 6 | 예선 탈락 |
2014년 | 8 | 3 | 2 | 3 | 10 | 4 | 11 | 예선 탈락 |
2018년 | 4 | 1 | 1 | 2 | 3 | 5 | 4 | 2차 예선 탈락 |
합계 | 42 | 9 | 9 | 24 | 37 | 82 | 36 | 본선 진출 0회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40위 (아프리카 32위) |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나미비아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총 4번 출전했다. 이전 1998년, 2008년, 2019년 세 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며 본선 승리를 기록하지 못했다.[2]하지만 2023년 대회에서 마침내 조별리그를 통과하며 나미비아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대회 16강 진출이라는 중요한 성과를 달성했다. 비록 16강전에서 앙골라에 0-3으로 패배했지만, 이는 나미비아 축구의 새로운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3. 2. 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나미비아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총 4번 진출했다. 1990년 독립 이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 하에 있었기 때문에 대회 참가가 불가능했다. 독립 이후 1992년 대회에는 FIFA 비회원국이었고, 1994년 대회에는 불참했으며, 1996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했다.1998년에 처음으로 본선 무대를 밟았으나 조별리그에서 1무 2패로 탈락했다. 당시 코트디부아르에 3-4로 패배했고, 앙골라와 3-3으로 비겼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1-4로 패했다.[2] 이후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연이어 예선에서 탈락했다.
2008년에 두 번째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이번에도 조별리그에서 1무 2패에 그치며 탈락했다. 모로코에 1-5, 개최국 가나에 0-1로 패했고, 기니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2] 2010년부터 2017년까지는 다시 예선의 벽을 넘지 못했다.
2019년에 세 번째 본선 진출에 성공했으나, 조별리그에서 3전 전패를 당하며 탈락했다. 모로코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각각 0-1로 패했고, 코트디부아르에는 1-4로 패배하며 단 1득점에 그쳤다. 2021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2023년 대회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조별리그를 통과하여 16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하지만 16강전에서 앙골라에 0-3으로 패배하며 도전을 마감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 |||||||||
---|---|---|---|---|---|---|---|---|---|
년도 (개최국)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7년 (수단) | 독립 이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 | ||||||||
1959년 (아랍 연합 공화국) | |||||||||
1962년 (에티오피아) | |||||||||
1963년 (가나) | |||||||||
1965년 (튀니지) | |||||||||
1968년 (에티오피아) | |||||||||
1970년 (수단) | |||||||||
1972년 (카메룬) | |||||||||
1974년 (이집트) | |||||||||
1976년 (에티오피아) | |||||||||
1978년 (가나) | |||||||||
1980년 (나이지리아) | |||||||||
1982년 (리비아) | |||||||||
1984년 (코트디부아르) | |||||||||
1986년 (이집트) | |||||||||
1988년 (모로코) | |||||||||
1990년 (알제리) | |||||||||
1992년 (세네갈) | 비회원국 | ||||||||
1994년 (튀니지) | 불참 | ||||||||
199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예선 탈락 | ||||||||
1998년 (부르키나파소) | 조별리그 | 14위 | 3 | 0 | 1 | 2 | 7 | 11 | 1 |
2000년 (가나/나이지리아) | 예선 탈락 | ||||||||
2002년 (말리) | |||||||||
2004년 (튀니지) | |||||||||
2006년 (이집트) | |||||||||
2008년 (가나) | 조별리그 | 14위 | 3 | 0 | 1 | 2 | 2 | 7 | 1 |
2010년 (앙골라) | 예선 탈락 | ||||||||
2012년 (적도 기니/가봉) | |||||||||
2013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
2015년 (적도 기니) | |||||||||
2017년 (가봉) | |||||||||
2019년 (이집트) | 조별리그 | 23위 | 3 | 0 | 0 | 3 | 1 | 6 | 0 |
2021년 (카메룬) | 예선 탈락 | ||||||||
2023년 (코트디부아르) | 16강 | 15위 | 4 | 1 | 1 | 2 | 1 | 7 | 4 |
총계 | 4회 진출(4/17[9]) | 16강(1회) | 13 | 1 | 3 | 9 | 11 | 31 | 6 |
순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30위 |